
트럼프 불확실성에 따른 침체 우려 여전히 존재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격적인 경제 정책에서 한발 물러서면서 미중 무역 전쟁이 한층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경기 침체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각) 중국과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2~3주 내 자체적으로 새로운 대중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전날에도 대중국 관세 145%는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협상을 거칠 경우) 그 정도로 높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시사했다. 중국에 무역 협상에 참여하라고 압박과 제안을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를 이루지 못한다면 우리가 그냥 숫자를 설정할 것”이라고 말했는데, 하루 만에 구체적인 시기를 특정했다.
‘연준 흔들기’에서도 한발 물러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우려로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자세를 취하자 공격에 나섰다.
금리를 인하할 적기라고 압박하면서 해임까지 운운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몇 주에서 몇 달간 파월 의장 해임 계획까지 검토했다고 한다.
하지만 지난 22일 돌연 해임설은 언론의 과도한 보도 때문이라며, 자신에겐 그럴 의향이 없다고 일축했다. 23일 다시 파월 의장 비난에 나섰지만, 해임까진 거론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극단적인 경제 정책에서 한발 물러서자 시장은 반색했다. 뉴욕증시는 22일에 이어 23일 급등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변화가 시장에 장기적인 안정을 줄 것이라는데 회의적이다.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 불확실성을 키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다고 지적한다.
웬디 에델버그 브루킹스연구소 경제 연구 선임 연구원은 CNN과 인터뷰에서 “이는 또 다른 흔들림일 뿐”이라며, 관세 자체보다 백악관이 초래한 불확실성이 더 위험하다고 진단했다.
주식시장은 이틀 연속 급등에도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발생한 상실분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월 이후 미국 주식은 11% 하락했으며, 팩트셋 데이터에 따르면 S&P500 지수는 두 달 전 고점을 찍은 이래 7조 달러 넘게 증발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기 침체 가능성을 최대 50~70%까지 예측하고 있다. 그 확률도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스러운 관세 정책으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켄트 스메터스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비즈니스 경제학 및 공공정책 교수는 관세가 지금 당장 철회되더라도 정책 불확실성만으로 미국은 국내총생산(GDP) 최소 1%를 잃을 것이라며 “모든 관세가 결국 시행된다면 GDP는 5%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이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신뢰를 잃은 만큼, 회복에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연준은 이날 공개한 베이지북에서 “국제 무역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널리 확산돼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은 불확실한 무역 정책을 반영하기 위해 관세 추가 요금을 부과하거나 가격 결정 기간을 단축했다”며 “대부분 추가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에델버그 선임 연구원은 “기업들은 방향을 못 잡고 있다”며 “내일 어떤 정책이 법으로 적용될지 모르기 때문에 모두 숨을 죽이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