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디지털 자산의 불법 자금 유통 확대⋯ “현지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
아시아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불법 자금 흐름 심각
[블록미디어 문예윤 기자] 아시아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시장에서 불법 자금 흐름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아시아 시장에 특화된 대응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16일(현지시각)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15억달러(약 2조원) 이상의 자금이 불법 경로로 이동하거나 손실됐다. △거래소 해킹 △돼지도살 투자사기 △특정 거래소 사건 등이 동남아를 중심으로 확산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지역별 맞춤형 리스크 지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현재 글로벌 분석업체들이 사용하는 리스크 엔진은 북미와 유럽을 기준으로 설계돼 있다. 믹서·텀블러·중앙화 온램프 같은 서구식 자금세탁 패턴에는 효과적이지만 아시아 금융 지하경제에는 취약하다.
이 때문에 태국의 △무허가 장외거래(OTC) △필리핀 모바일머니 △인도네시아 개인간 거래(P2P) 방식 등은 기존 규제를 피해 새로운 자금 흐름을 만든다. 이 과정에서 불법 자금이 탈중앙화금융(DeFi)로 흘러가도 경고 신호가 잡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싱가포르 페이퍼컴퍼니를 활용한 순환거래 인도네시아 전자지갑을 통한 레이어링도 현지 특성을 반영하지 않으면 포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사후 추적 방식으로는 범죄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규제기관은 기술 이해도가 낮고 민간업체는 법적 권한이 부족해 한계가 뚜렷하다.
이에 따라 민관 협력이 핵심 해법으로 제시된다. 실제로 태국과 말레이시아에서는 분석업체와 경찰이 실시간 대시보드를 공유해 몇 시간 만에 자금 동결에 성공한 사례가 있었다. 과거 수주일 이상 걸리던 대응이 단기간으로 단축된 것이다.
최근 베트남·태국·인도 등에서는 개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맞춤형 리스크 관리와 협력 체계를 마련해야 시장이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