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뉴스] 에테나랩스, 출시 18개월 만에 USDe 공급량 500억 달러를 초과하다
1 min read

[주요 뉴스] 에테나랩스, 출시 18개월 만에 USDe 공급량 500억 달러를 초과하다

에테나랩스(ENA)의 스테이블코인 USDe가 출시 18개월 만에 공급량 50억 달러를 돌파하며 디파이(DeFi)와 중앙화금융(CeFi) 양쪽에서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았다.

파라파이 캐피탈(ParaFi Capital)은 에테나의 성장 배경과 시스템 구조를 분석하며 USDe의 안정성과 수익성, 확장성에 주목했다.

USDe는 출시 이후 비트코인 10% 이상 급락 8회 등 시장 변동성에도 강한 달러 가치 연동력을 보였다. 약 33억 달러 규모의 환매가 발생했지만, 최근 12개월 간 USDe 가격은 1달러 기준에서 0.5% 이상 벗어난 적이 없었다. 지난 4월 2일부터 4월 16일까지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이후에도 4억900만 달러 이상이 환매됐지만, 안정성을 유지했다.

USDe를 스테이킹 시 발행되는 sUSDe는 디파이 수익률 기준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6개월 동안 sUSDe 평균 수익률은 12.3%로, 다른 주요 금융 상품보다 높은 수익을 기록했다. 에테나는 높은 기준금리 환경에서만 운영돼 왔으며, 향후 실질 금리가 하락할 경우 레버리지 수요 증가로 수익률이 더 오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에테나는 수익률에 따라 담보 구조를 동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2024년 12월에는 블랙록(BlackRock)의 BUIDL 상품을 기반으로 한 USDtb를 도입했으며, 현재 공급량은 14억 달러를 넘어섰다. 현재 에테나 담보 자산의 72%는 유동성 스테이블코인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지난해 말 비트코인, 이더리움 중심 구조와 비교할 때 큰 변화다.

USDe와 sUSDe는 디파이 주요 플랫폼에 깊이 통합돼 있다. USDe는 팬들(PENDLE) 총 예치자산(TVL)의 60%, 모포(Morpho)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에테나는 전체 디파이 TVL의 약 6%를 기록 중이다. 2월 발생한 바이빗(Bybit) 해킹 사태 이후에도 비교적 견고한 모습을 보였다.

파라파이는 음의 펀딩비 환경에서의 USDe 공급 변화, 거래소 운영 리스크, USDtb 성장과 통합, 기관 대상 iUSDe 도입 등 향후 주목할 요소를 제시했다. 에테나는 디파이의 중심을 넘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모델의 실험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8일, 16:5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원문 보기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